차트 패턴:경직된 사고를 부수는 실전 차트 패턴의 모든 것
COUPANG
www.coupang.com
# 파이프 바닥형
이중 바닥의 두 저점이 서로 가까이 붙어 있다면 어떻게 될까??
파이프 바닥형은 이탈 후 상승폭은 45%, 추세가 바뀌면 평균 33%하락한다.
따라서 주가가 올랐다고 휴가를 가버리면얻었던 이익의 상당 부분을 반납하게 될 것이다.
$ 패턴의 특징과 확인 과정
* 주간 차트를 활용하라. 일간 차트의 파이프 바닥형은 잘 들어맞지 않는다.
* 하향하는, 평행선처럼 보이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스파이크(주가가 돌출한 부분)를 찾는다.
* 바닥에서의 스파이크들은 약간의 가격 차이가 있다.
* 지난해의 스파이크들보다 긴 스파이크를 찾는다.
* 2개의 스파이크는 겹쳐지는 부분이 많아야 한다 (66%가 평균).
* 87%의 경우, 파이프를 이루는 2개의 스파이크 중 하나 또는 모두에서 거래량이 많았다(30일 평균 거래량 이상).
* 파이프 형태가 차트상에서 분명하게 나타나야 한다.
** 스파이크의 길이
파이프 바닥형을 구성하는 2개의 바 중 더 높은 곳에 있는 바의 저가로부터 이 2개의 바들과 인접한 바의 저가까지를 말한다.
$ 상향이탈
주가가 파이프를 구성하는 2개의 스파이크 중 더 높은 고가 위에서 종가를 형성할 때를 말한다. 이때 패턴이 유효한 패턴으로 확인된다.
$ 상향이탈 후 주가가 전고점까지 상승한 다음 거기서 멈추거나 반락하는 것이 파이프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다.
(파이프 바닥형 예시 : 현대모비스 주봉)
$ 불코우스키의 조언 (매수에 관한 규칙)
* 파이프 바닥형은 흔하기 때문에 잘 골라야 한다. 파이프형은 많은 경우, V자형을 이루는 주가 추세의 바닥에서 발견된다.
* 파이프형을 제대로 찾았다면, 일간 차트로 바꾸어 보면서 주가가 파이프 바닥형의 최고가 위에서 형성됐을 때 주식을 매수하라.
* 매수에 나서기 전에 주가가 파이프 바닥형의 최고가 위에서 형성될 때를 기다려라.
* 하락세에서는 많은 경우 파이프 바닥형이 확인되지 못하고 주가는 계속하여 내려간다.
* 장기(6개월 이상) 하락 뒤에 나타나는 파이프 바닥형은 중기 혹은 단기 하락 뒤의 파이프 바닥형보다 상승폭이 훨씬 더 크다.
* 일간 차트나 주간 차트에서 모두 위쪽의 저항선은 피해야 한다.
저항선이 있으면 하향 후퇴가 일어나 주가 상승폭이 적어진다(하향 후퇴가 일어나는 경우 평균 주가 상승폭은 38%이고, 하향 후퇴가 없는 경우는 51%이다).
* 큰 패턴은 작은 패턴보다 주가 상승폭이 더 크다.
* 스파이크가 긴 파이프 바닥형은 스파이크가 짧은 파이프 바닥형보다 주가 상승폭이 크다.
* 저가들 간의 가격차이가 큰 파이프형을 선택하라.
* 왼쪽 스파이크가 오른쪽 스파이크보다 거래량이 많은 경우, 주가 상승폭이 크다.
* 왼쪽 스파이크가 더 낮을 경우, 오른쪽 스파이크가 더 낮을 경우보다 주가 상승폭이 크다.
* 주간차트에서 오른쪽 스파이크가 왼쪽 스파이크보다 고가가 더 낮고 저가는 더 높을 때(즉 오른쪽 스파이크가 왼쪽 스파이크에 덮일 때) 주가 상승폭이 더 크다.
(파이프 바닥형 예시 : 카카오 주봉, 일봉)
$ 가격 목표점 결정
- 전고점이 가격 목표점이 된다.
- 주가는 전고점 이후로도 계속하여 상승할 지 모른다. 하지만 아무래도 이런 사소한 데에 목숨을 걸 필요는 없을 것이다.
- 주가가 전고점 부근에서 멈추면 매도를 생각하라.
*** 사례의 네이버는 전고점 지점을 가볍게 돌파하여 신고가를 계속하여 만들어 간 형태였다. (즉, 전고점 이후 저항선이 없는 상태) 이럴땐, 계속해서 손실제한주문 가격을 이동시켜주면 이익을 보전할 수 있을 것이다.
# 12월 4주차 관심종목
※ 관심종목일 뿐 투자를 조장하는 종목이 아닙니다. 투자는 신중하게 자신 스스로 판단하여 하도록 합니다.
1. 무림피앤피 (주봉)
* 주봉상 파이프 형성
* 다음주 내로 4,800 돌파시 매수해볼만 함.
* 전고점을 목표로 삼기엔 너무 낮음. 목표는 전전고점인 5,440 (+13%)
* 손절은 파이프 하단인 4,330(-10%)
1. 무림피앤피 (일봉)
* 깃발형 형성 => 깃발형 차트패턴 5-1회차 참고
- 저점대비 90% 이상 상승
- 상승 후 밀집구간 형성
- 밀집구간 거래량 감소
* 다음주 내로 9,000 돌파시 매수해볼만 함.
* 목표는 전고점인 9,770 (+9%)
* 손절은 밀집권 하단인 8,310 (-7.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차트공부, #차트보는법, #차트책추천, #차트패턴, #차티스트, #추세선, #코인, #주린이, #주식, #토마스불코우스키 #관심종목 #12월4주차
'차트패턴 : 토마스 N. 불코우스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패턴 5-1회차 : 성취율이 가장 높은 10가지 바닥 패턴 1 (깃발형) / 12월 2주차 관심종목 (0) | 2022.12.03 |
---|---|
차트패턴 4회차 대응이 필요한 특수상황 : 약세장에 주식을 사는 것은 고속도로에서 반대 방향으로 운전을 하는 것과 같다. (2) | 2022.11.20 |
차트패턴 3회차 지지와 저항 : 마치 포커를 치면서 상대방의 손에 어떤 카드가 들었는지 훤히 보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 (0) | 2022.11.12 |
차트패턴 2회차 추세선에 관한 진실 : 주식거래는 낚시와 매우 흡사하다. (0) | 2022.11.09 |
차트패턴 1회차 : 바람과 소망은 주가의 방향을 바꾸지 못한다. (0) | 2022.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