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트패턴 : 토마스 N. 불코우스키

차트패턴 3회차 지지와 저항 : 마치 포커를 치면서 상대방의 손에 어떤 카드가 들었는지 훤히 보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

by sdh2305 2022. 11. 12.
728x90
반응형

"지지영역과 저항영역은 가장 중요한 차트 패턴이다. 왜 그런가? 지지영역과 저항영역은 매번의 매매 때 당신이 얼마나 이익을 얻고 얼마나 손해를 볼지 알려주기 때문이다. 마치 포커를 치면서 상대방의 손에 어떤 카드가 들었느니 훤히 보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당신이 항상 딸수는 없겠지만, 그게 도움이 되리라는 것은 확실하다."

 

 

차트 패턴:경직된 사고를 부수는 실전 차트 패턴의 모든 것

COUPANG

www.coupang.com

 

제4장 지지와 저항 : 가장 중요한 차트 패턴

# 지지와 저항이란 무엇인가?

지지와 저항은 주가가 멈추는 지점.

보통 영역, 즉 가격의 범위로 나타난다.

예컨대 지지영역은 압도적인 매수세가 주가 하락을 멈추게 하는 곳, 저항영역은 압도적인 매도세가 주가 상승을 중단시키는 곳.

지지와 저항은 철저하게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만들어진다.

# 차트 패턴으로서의 지지영역과 저항영역

$ 삼중천정형 : 3개의 고점 모두 비슷한 가격 수준에 형성되는 패턴, 주가가 고점들 사이에 있는 가장 낮은 저점 아래로 떨어지면 유효한 차트 패턴이 된다.

 

(예시) 카카오 일봉

3중천정 형성하고 다시 천정을 뚫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하고 저점 아래로 하락해버림

보이지 않는 덮개가 내리 누르고 있어 주가가 더 이상 올라갈 수 없는 형국이다.

 

어떤 사람의 바닥이 어떤 사람에게는 천정이 되는 것처럼 지지선이 저항선이 되는 것에 유의하라. 주가가 어느 쪽에서 접근하느냐에 따라 지지선은 저항선이 되고 저항선은 지지선이 된다.

패턴에서의 추세선은 지지영역과 저항영역이 어디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당신은 추세선을 보고 앞으로 어디서 지지영역과 저항영역이 형성될지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피보나치 되돌림

주가는 계단을 타고 근심의 벽을 올라간다.

하지만 이때 되돌림이 아니라는 것을 예상하고 이를 거래에 활용해야 한다.

 

* 되돌림 : 추세를 형성하고 나아가던 주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을 보이곤 하는데 이때의 후퇴 움직임을 말한다.

 

$ 피보나치 되돌림 : 상승폭의 38%, 50%, 62%를 되돌리는 곳이 주식이 하락을 멈출 가능성이 높은 가격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되돌림 현상이 언제나 맞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어쨌든 그 덕분에 우리는 주가가 어디서 멈추고 어디서 방향을 바꿀지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 장기 거래를 할 때 상승장에서는 대개 62% 되돌림 수준의 가격보다 몇 센트 아래에 손실제한 주문을 해둔다. 그정도의 손실제한주문에 걸리면, 주가는 계속하여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 반기형 패턴 : 가파른 상승 또는 하락 움직임 중간에 깃발형, 페넌트형 그리고 삼각형(상승 삼각형, 하락 삼각형, 대칭 삼각형) 같은 차트 패턴이 나타날 때는 반기형이라고 한다.

* 깃발형 : 고점과 저점 각각 추세선을 이엇을때 깃발 형태로 나타나는 패턴

* 대칭 삼각형 : 2개의 추세선이 만나는 삼각형의 꼭짓점이 지지영역 또는 저항영역이 된다.

 

(피보나치 되돌림 예시 : 주가는 102,200원에서 바닥을 찍고 50% 수준인  88,200원까지 반등, 62% 수준까지도 반등을 하였으나, 저항을 뚫지 못하고 하락.)

 

(깃발형 예시 : 상승 또는 하락이 지속되고 있는 큰 수세선 속에 깃발형태로 나타난 추세선)

(대칭 삼각형 예시 : 대칭삼각형의 아래쪽 추세선과 위쪽 추세선을 차례대로 거치며 움직였으나, 하단 추세선인 지지선 터치 후 상단 추세선인 저항선까지 다다르지 못한 부분 상승이 발생하며 주가는 하락하였다.)

 

 

 

# 천정과 바닥

대부분의 주가가 이전의 천정이나 바닥에서 움직임을 멈추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왜 그런가?

매도 압력 때문에 주가가 천정을 형성하고, 매수세 때문에 바닥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천정이나 바닥이 평균 이상의 거래량을 동반하면서 형성되면, 그 뒤에 주가가 그 지점에 이르렀을 때 반전하는지 여부를 지켜보라.

대개 주가는 차트 패턴을 이탈한 뒤 이전의 천정이나 바닥에서 움직임을 멈춘다.

 

$ 상향이탈시 이전 천정에서 멈출 확률 26%, 이전 바닥에서 멈출확률 19%

   하향이탈시 이전 천정에서 멈출 확률 27%, 이전 바닥에서 멈출 확률 27%

 

# 수평 밀집 구간

* 수평 밀집 구간 : 주가가 상당한 시간 동안(보통 몇 주에서 몇 달간) 비슷한 가격대 내에서 움직임을 갖는 수평 형태의 밀집 구간. 구간 내의 고가나 저가가 평평한 것이 우선적인 특징이다.

* 밀집 :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고 수평적으로 움직일 때 나타나는 현상

* 밀집구간 : 주가가 상승세나 하락세에서 횡보세로 바뀌는 밀집된 가격 구간

 

주가는 수평 밀집 구간에서 수평적으로 움직이면서 비슷한 가격대가 이어지지만 이때의 천정과 바닥의 모양은 일정치 않다.

 

* 역헤드앤숄더 : 어깨가 되는 두 저점(왼쪽 어깨와 오른쪽 어깨)이 비슷한 가격 수준에서 형성되고 머리로부터의 거리도 비슷하다. 머리는 어깨의 저점보다 충분히 낮다. 종가가 이 패턴의 겨드랑이를 연결하는 목선 위로 형성되면서 돌파가 일어나면 유효한 패턴이 형성된다. 즉 거래에 이용할 만한 패턴이 됐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수평 밀집 구간에 주의해야 한다.

* 목선 : 저점(헤드엔숄더의 경우) 또는 고점(역헤숄의 경우)을 이어 놓은 추세선. 종가가 목선의 위나 아래를 뚫을 경우 돌파가 일어난다.

 

 

(예시 : 역헤드앤숄더 목선을 돌파하여 패턴을 완성하고 상승 후 전고점까지 돌파하였으나, 전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재차 하락한 경우.)

$ 주가가 수평밀집구간에서 상향 이탈이 일어난 경우 30%는 주가가 이전의 수평 밀집 구간수준에 도달하여 반전된다.

   하향이탈의 경우에는 그 빈도가 좀 더 높아 수평 밀집 구간 수준에서 주가 움직임이 멈출 확률은 35%이다.

$ 전고점이나 전저점보다 수평 밀집 구간에서 주가 움직임이 중단될 확률이 오히려 더 높다. 거래하기 전에 늘 수평 밀집 구간이 어디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 지지, 저항영역으로서의 어림수

어림수 : 10,20,30처럼 0으로 끝나는 수들뿐만 아니라 15,25,35처럼 5로 끝나는 수들도 가리킨다. 주가는 대개 이런 어림수에서 멈춘다.

$ 어림수보다 몇 원 위나 아래로 손실제한주문을 해두어야 어림수에 손실제한주문이 실행되는 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

 

어림수에 형성되는 지지영역과 저항영역은 돌멩이를 던지는 것보다는 수류탄을 던지는 것과 비슷하다. 정확히 딱 맞는 값을 기대해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어림수 구간 예시 : 10,000원 단위의 가격에 캔들이 집중되어 있는 모습이다.)

# 추세선과 추세대

* 부분하락 : 주가가 위쪽 추세선과 만난 뒤 하락하지만 아래쪽 추세선에 닿지 않고(혹은 가까이 접근하지 ㅇ낳고) 뚜렷한 형태의 바닥을 형성한 다음 곧바로 위쪽 추세선을 상향 이탈할 때를 말한다.

  부분하락은 실제 이탈 전에 시작되고 어떤 유효한 차트 패턴이 등장한 뒤(다른 말로 하자면, 주가가 최소 두 차례 추세선과 만나고 유효한 패턴의 확인에 요구되는 다른 어떤 조건들을 충족시킨 뒤) 형성되어야 한다. 확대형과 직사각형에서 부분 하락을 찾아보라.

$ 추세선과 추세대는 주가가 어디서 지지영역이나 저항영역을 만나는지 보여준다.

 

(부분하락 예시 : 추세선 상단과 하단을 터치하며 움직이던 주가가 추세선 상단 터치 후 부분 하락 후 반등한 후 주가는 추세선을 이탈하여 상승)

 

# 지지, 저항영역으로서의 거래량

거래량과 지지, 저항은 거래의 심리학을 통해 관련을 맺고 있다.

$ 58% 확률로 거래량이 평균보다 많을 때 주가가 천정에 도달, 70% 확률로 거래량이 평균이상일때, 바닥을 쳤다.

 

(거래량 예시 : 추세선 상단과 하단 터치시 거래량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 지지, 저항영역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법

$ 주가가 상승 직각 확대형을 이루며 마치 산 정상의 소나무 숲 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으나, 아래쪽 추세선과 만난 뒤 소폭 상승했다가 급락하면서 전형적인 부분 상승 패턴을 형성. 부분 상승은 74~79% 확률로 추세선 하향 이탈을 정확하게 예고한다. 이때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당장 처분해야 한다.

 

(부분 상승 예시 : 추세대 안에서 횡보하던 주가가 하단 추세선에 근접 후 상승하였으나 상단 추세선에 닿지 못하자 주가는 하락했다.)

 

 

※ 명심하라. 당신이 주가가 어느 가격에 도달하리라 예상한다고 해서 주가가 꼭 그 가격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